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직장피부양자의 산부인과 내역을 확인할 수 있나요? 저는 엄마의 직장피부양자로 보험가입이 되어있는데 제가 5월, 6월에 부정출혈로 인해
저는 엄마의 직장피부양자로 보험가입이 되어있는데 제가 5월, 6월에 부정출혈로 인해 산부인과에 다녀왔습니다. 비용은 제 카드로 결제 했어요. 근데 아직 원인도 증상도 나아지지 않아서 재방문할 예정입니다. 제가 20대 초반이고 자가면역질환자라 어릴때부터 대학병원을 다니는 중이라 부모님께 알리고 싶지 않아서요. 걱정도 하실태지만 부모님의 부정적인 시선도 걱정이 됩니다. 건강보험앱에서는 산부인과 기록은 안떠요. 약 처방도 안받아서 약국기록도 없습니다. 엄마가 제가 산부인과 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부모님께서 건강보험 피부양자라고 해서 자동으로 산부인과 내역을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단, 몇 가지 예외 상황을 주의하셔야 해요.
건강보험공단의 개인 진료내역 열람
일반적으로는 본인 인증 없이 다른 사람(가족 포함)의 병원 방문 내역은 볼 수 없습니다.
어머니가 직접 질문자님의 공인인증서나 공동 인증서로 로그인하지 않는 한, 건강보험앱이나 공단 홈페이지에서 진료 기록을 조회할 수 없습니다.
병원에서 보험 청구 내역이 통보되는 경우
진료비가 건강보험으로 처리되었더라도,
그 내역은 건강보험공단이나 심사평가원을 통해 본인이 직접 로그인해야만 확인 가능합니다.
피부양자 등록 여부와는 무관하게, 부모님 계정에서는 질문자님의 병원 내역을 열람할 수 없습니다.
단, 가족이 보험료 고지서 등을 통해 추정하는 경우
아주 드물게 진료비 내역이 요약된 건강보험 고지서가 우편으로 오는 경우가 있었지만,
요즘은 대부분 우편 고지서에 세부 진료과나 병원명이 나오지 않습니다.
게다가 앱이나 웹 상에서도 진료내역은 성인 자녀의 동의 없이는 보이지 않습니다.
약을 처방받지 않은 점도 확인에 어려움
약 처방이 없다면 약국 기록도 없기 때문에,
어머니께서 질문자님이 산부인과에 갔다는 사실을 추측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정리하자면,
카드로 직접 결제했고, 약 처방도 없었으며, 따로 부모님께 본인 인증을 맡기지 않았다면,
어머니가 질문자님의 산부인과 진료 사실을 아시는 건 거의 불가능합니다.
건강 문제는 혼자 감당하기 힘든 부분이 많으니,
다음번 진료 때는 마음 놓고 의료진에게 더 자세히 상담받으시길 바라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우측의 ⋮ 버튼을 누르시고
포인트 선물을 누르셔서 마음을 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필요한 유용하고 다양한 정보들,
제가 직접 정리한 블로그에 담아놨어요.
시간 아깝지 않을 거예요.
https://blog.naver.com/6zvqglo/223937420267 image 내가 꼭 일기를 쓰는 이유
일기를 추천하는 이유 – 서하윤의 이야기 이 글을 읽고 있는 분께 조심스럽게 일기 쓰기를 권해보고 싶어...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