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금값이 많이올랐는데? 2년안에 100만갈까요?금이 안전자산이라는데 아는아저씨는 아니라면서 사는거 별로추천안하는데 그아저씨가 하는말이 실제금은방가면
2년안에 100만갈까요?금이 안전자산이라는데 아는아저씨는 아니라면서 사는거 별로추천안하는데 그아저씨가 하는말이 실제금은방가면 사려는사람보다도 팔려고 내놓은사람들이 대부분이라하더라고요?
금값이 많이 올랐고, 앞으로 2년 안에 1돈(3.75g)이 100만 원을 넘을 수 있느냐는 질문은
정확한 예측은 어렵지만, 중요한 3가지 흐름을 보면 어느 정도 방향은 짐작할 수 있습니다.
---
✅ 1. 지금 금값이 왜 오르나?
금은 원래 ‘불안할수록 오르는 자산’입니다.
현재 금값 상승 요인: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미국 금리, 중국 위안화 불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미 달러 약세 기조 + 금리 인하 기대
중앙은행(특히 중국, 인도 등)의 금 매입 급증
개인 투자자의 실물 자산 선호 (부동산 대신 금)
2025년 현재 금값은 국제 금 시세와 환율, 국내 수요, 정책 신호에 따라 움직입니다.
---
✅ 2. “2년 안에 100만 원 간다?” → 가능성은 있지만, 보장할 수는 없음
구분 설명
현재 1돈 금값 2025년 8월 기준, 약 47만~52만 원대 (24K 기준 실물 매입 시)
⏱ 2년 후 예상치 극단적으로 오를 경우 80~100만 원대 진입 가능성은 있음 (전쟁, 금융위기 등 발생 시)
⚖️ 하지만 세계 경제가 회복되거나 금리에 변화가 생기면, 오히려 하락 가능성도 존재
결국 금은 "무조건 오른다"는 자산이 아니라, "불확실성에 베팅"하는 자산입니다.
---
✅ 3. 금은방에서 팔 사람이 많다? → 반은 맞고 반은 틀림
사람들이 금을 ‘팔려고 내놓는 상황’이 많다는 건,
1. 가격이 충분히 올랐다고 느끼거나
2. 현금이 급히 필요하거나
3. 앞으로 더 오르지 않을 거란 심리가 퍼졌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고점에 다다랐다고 보는 사람은 ‘이익 실현’ 중이고,
장기적 보유자는 여전히 **'분산 투자 수단'**으로 금을 들고 있습니다.
> 참고로 금은 '심리전'입니다.
누군가는 “너무 늦었다”고 말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지금이 시작이다”**라고 말합니다.
---
그럼 금, 지금 사도 될까?
만약 당신이... 결론
단기 차익 노림 ❌ 추천 안 함 (지금은 너무 고점)
장기 보유 + 분산투자 ✅ 일부 포트폴리오에 편입 가능
현금이 묶이면 안 됨 ❌ 비추천 (유동성 낮음)
---
정리
2년 내 100만 원? → 가능은 있으나, 극단적인 글로벌 악재가 동반되어야 가능성 있음
“지금 사도 될까?” → 단기 투자는 위험 / 장기 분산투자로 일부만 보유 추천
그 아저씨 말? → 실물 시장 상황 일부 반영하지만, 전체 흐름은 국제 금 시세에 좌우됨
---
필요하면:
금 vs 은 vs 달러 vs 주식 비교
2025~2027년 안전자산 트렌드 도 정리해 드릴게요. 원하시면 말씀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