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혼인공제 관련 안녕하세요 ! 혼인 증여내용 증여세 신고 관련하여 여쭙습니다제가 아버지께 그동안
안녕하세요 ! 혼인 증여내용 증여세 신고 관련하여 여쭙습니다제가 아버지께 그동안 증여받은 금액입니다1. 2020.09월 초1100만원2. 2020. 09월 말 2800만원이렇게 4000만원정도를 집계약금 때문에 증여받았고신고하지 않은 상태입니다올해 10월쯤 1억을 혼인으로인한 증여 받을 예정입니다어머니께 5천, 아버지께 5천을 받아 총 1억 받을 예정인데그럼1. 3900만원 _>기한 후 신고2. 5000만원(어머니증여) _>정기신고(혼인공제))3. 5000만원(아버지증여)_>정기신고(혼인공제)‼️어머니, 아버지 따로 신고해야하는지?이렇게 총 3번을 신고해야하나요?가산세액이나 이런것들은 문제 없는지 여쭙습니다
상황 개요
2020년: 아버지로부터 총 3,900만원(=1,100 + 2,800) 증여 → 미신고 상태
2025년 10월 예정: 혼인으로 인한 증여 1억원(어머니 5천만원 + 아버지 5천만원)
질문: 신고 횟수, 아버지·어머니 각각 신고 여부, 가산세 발생 여부
1. 증여세 과세 기본 구조
증여세는 증여자별로 10년간 받은 금액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아버지에게 받은 것과 어머니에게 받은 것은 각각 별도 과세합니다.
혼인공제: 결혼일로부터 전후 2년 이내 증여 시, 1억원까지 추가 공제 (배우자 아님, 부모로부터 받는 경우 적용)
2. 현재 금액별 처리
(1) 2020년 아버지 증여 3,900만원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 신고가 원칙 → 이미 기한 경과
기한 후 신고 가능하지만, 무신고 가산세와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음
가산세율(일반): 무신고 가산세 20% + 납부불성실(일별 0.025%)
다만, 자진해서 기한 후 신고 시 무신고 가산세 50% 감면 가능
(2) 2025년 혼인 증여
아버지 5천만원 + 어머니 5천만원 = 각각 신고
혼인공제 1억원은 증여자별로 적용되지 않고, 합산 1억원 한도입니다.
→ 따라서 5천만원씩이면 공제 범위 내라서 증여세 0원
그래도 반드시 정기 신고해야 비과세가 확정됨
3. 신고 횟수
총 3건이 맞습니다.
아버지 2020년분(기한 후 신고)
아버지 2025년분(정기 신고, 혼인공제 적용)
어머니 2025년분(정기 신고, 혼인공제 적용)
4. 가산세 관련
2025년 혼인 증여분은 신고 시 가산세 없음 (정기 신고)
2020년분은 기한 경과로 가산세 발생 가능 → 하지만 기한 후 신고 시 일부 감면
계산 시 10년 합산 규정 때문에 2025년 아버지분 증여는 2020년분과 합쳐서 계산됨
→ 예: 아버지 3,900만(2020) + 5,000만(2025) = 8,900만 → 혼인공제 적용 시 전액 공제 가능
→ 이 경우 세금은 0원이어도, 2020년분 무신고 가산세만 문제
정리
아버지·어머니 각각 별도 신고 (총 3건)
2025년분은 혼인공제로 증여세 없음
2020년분은 세금은 없어도 무신고 가산세 일부 발생
기한 후 신고 시 가산세 절반 감면 가능
2020년 아버지 증여분(총 3,900만원)에 대해 가산세 예상치
1. 과세표준 & 세액
아버지로부터 받은 증여 = 3,900만원
직계존속 증여 기본공제(성인 자녀) = 5,000만원
과세표준 = 3,900만원 – 5,000만원 = 0원 → 본세(증여세) 0원
즉, 세금 자체는 안 나옴
2. 가산세 구조
세금이 0원이더라도, 무신고 가산세는 ‘산출세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산출세액이 0원이면 무신고 가산세도 0원입니다.
무신고 가산세 = 산출세액 × 20% (기한 후 신고 시 50% 감면)
납부불성실 가산세 = 산출세액 × 기간 × 0.025%
이번 경우 산출세액이 0원 → 두 가산세 모두 0원
3. 결론
2020년분 아버지 증여 3,900만원은 세금도 가산세도 없음
하지만 ‘증여세 신고’ 자체는 해야 합니다.
→ 이유: 2025년에 같은 증여자로부터 또 증여를 받으면 10년 합산 규정이 적용되기 때문
→ 합산 시 2025년분이 혼인공제로 비과세 처리되려면 이전 증여내역이 신고되어 있어야 함
최종 요약
2020년분: 기한 후 신고 필요, 세액 0원, 가산세 0원
2025년분: 아버지·어머니 각각 정기 신고, 혼인공제로 세액 0원
총 신고 횟수: 3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