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의 연구개발 직무에 지원하려고 하는데, 주로 어떤 프로젝트나 기술을 다루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HW, SW, 기계 부문에서 각각 맡게 되는 역할의 차이점과 요구되는 기술 스택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LIG넥스원의 연구개발(R&D) 직무에서는 국방·항공·해양무기체계, 감시정찰, 전자전 등
첨단 무기와 미래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주로 담당하게 되며, HW, SW, 기계부문은 각자 특화된 역할과 기술 스택을 요구합니다.
임베디드 시스템, PCB 설계/제작, 펌웨어, 디지털/아날로그 회로 개발이 핵심입니다.
다루는 주요 기술/툴: ARM Cortex MCU, ATmega MCU, TI DSP 시리즈, PCB CAD(OrCAD, PADS), 회로 디버깅, 반도체 소자 분석 등.
실제 제품 개발·성능 검증 및 전자부품 통합이 많으며, SW와 긴밀히 협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방용 소프트웨어, 무기체계 제어 SW, 통신·영상처리 SW, 알고리즘 개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등이 주력입니다.
주요 스택: C/C++, Python, Java, 임베디드 펌웨어, 실시간 운영체제(RTOS), AI/영상처리, 네트워크/보안, 시스템 시뮬레이션/가상환경 SW 개발 등.
최신 트렌드에 맞춘 AI, 영상처리 및 탐지·추적 최적화, 통신 및 사이버보안 개발을 강조합니다.
기계설계, CAD/CAM, 구조해석, 기계융합 시스템, 미사일/로봇/무인체계 기계부품 개발을 맡습니다.
활용 기술: SolidWorks, AutoCAD, ANSYS, 3D 모델링, 구조해석,
기계공학적 설계/생산기술, 기계 자동화/로봇제어 등.
HW/SW 개발자들과 협업하며, 제품 기구 설계/적용, 시제품 제작, 환경 테스트 등도 담당합니다.